본문 바로가기
	
	
신용점수 높이는 방법_쉽다 쉬워~ 개인의 신용도는 다양한 금융활동에 영향을 줍니다. 기존의 신용등급이 사라지고 신용 점수제가 도입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신용 점수제는 무엇이고 높이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신용점수란 금융기관에서 개인의 신용도를 파악하는 기준이 됩니다. 신용점수에 따라서 신용카드 발급, 대출 금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기존 신용등급이 1등급에서 10등급으로 나뉘었다면 신용점수는 1점~1000점으로 매겨집니다. 신용도를 평가하는 곳은 크게 신용평가사와 금융회사가 있습니다. 신용평가사는 NICE평가정보, KCB, SCI평가정보이고 금융회사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은행, 카드사, 보험사를 말합니다. 신용점수가 낮은 경우 신용점수는 평가하는 기관마다 기준점이 다르기 때문에 점수가 다르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신용점수가 낮게.. 2022. 6. 5.
2022년 청년지원사업 총정리 정부에서 청년들을 위한 지원정책을 많이 발표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서울, 경기에서 직장을 다니는 청년들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주거지원'이 아닐까 합니다. 버팀목 대출, 중기청 전세대출, 청년 전세임대 등 2022년 청년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청년) 만 19세~39세 이하 무주택 세대주 대상의 전세자금이 필요한 청년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대출상품입니다. 연 1.5%~2.1% 금리 이자로 임차보증금의 80%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7천만 원 한도로 가능합니다. 금리는 소득에 따라서 정해지고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조건도 있습니다. 연소득 2천만원 이하 : 1.5 % 연소득 2천만원 초과 ~ 4천만 원 이하 : 1.8 % 연소득 4천만원 초과 ~ 6천만 원 이하 : 2.1 %.. 2022. 6. 5.
긴급 민생안정 정리_(서민안심전환대출, 긴급생활안정자금 등) 2차 추경 편성에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를 통해 교육비 절감·교통·통신비 인하·이자부담 완화·긴급 생활안정 지원금 등의 민생대책을 마련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생계비 부담 경감 대책'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긴급 민생안정 프로젝트 이번 글에서 정리할 내용은 '생계비 부담 경감'에 대한 내용입니다. 교육비 부담 완화 -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학비가 부담이 되는 학생들을 위해 22년 2학기 학자금 대출 금리를 1학기 수준의 저금리 1.7%로 동결합니다. 기존 학자금 대출자들의 평균 대출 금리가 높기 때문에 1,2차 학자금 전환대출에서 제외된 분들은 7월부터 2.9%까지 낮춰줍니다. - 총 9.5만명에게 연간 36억 원의 이자부담이 경감되리라 예상합니다. 교통·통신비.. 2022. 6. 5.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