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임대료 나눔제_ 도입될까? 윤정부가 대선 때부터 내세웠던 공약인 '임대료 나눔 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영업자,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인 임대료 나눔 제의 실질적인 도입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진행 중입니다. 코로나19로 피해가 많은 소상공인들을 위한 정책이니만큼 좋은 시행이 되길 바랍니다. 소상공인 임대료 나눔 제란 소상공인이 부담하는 임차료를 정부, 임대인, 소상공인이 분담하는 정책이다. 소상공인이 부담하는 임차료를 줄이고, 이에 따른 임대인 손실은 정부가 전액 보전하는 방식이다. 임대료를 임대인, 임차인, 국가가 3분의 1씩 부담하는 정책입니다. 예를 들어 임대료가 300만 원이라면 각각 100만 원씩 동일한 금액으로 부담합니다. 그렇다면 임대료를 임대인이 부담한다면 약간 불공평하다고 생각이 되실 텐데요~ 자영업자, 소상공.. 2022. 6. 7. 신용점수 높이는 방법_쉽다 쉬워~ 개인의 신용도는 다양한 금융활동에 영향을 줍니다. 기존의 신용등급이 사라지고 신용 점수제가 도입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신용 점수제는 무엇이고 높이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신용점수란 금융기관에서 개인의 신용도를 파악하는 기준이 됩니다. 신용점수에 따라서 신용카드 발급, 대출 금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기존 신용등급이 1등급에서 10등급으로 나뉘었다면 신용점수는 1점~1000점으로 매겨집니다. 신용도를 평가하는 곳은 크게 신용평가사와 금융회사가 있습니다. 신용평가사는 NICE평가정보, KCB, SCI평가정보이고 금융회사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은행, 카드사, 보험사를 말합니다. 신용점수가 낮은 경우 신용점수는 평가하는 기관마다 기준점이 다르기 때문에 점수가 다르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신용점수가 낮게.. 2022. 6. 5. 2022년 청년지원사업 총정리 정부에서 청년들을 위한 지원정책을 많이 발표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서울, 경기에서 직장을 다니는 청년들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주거지원'이 아닐까 합니다. 버팀목 대출, 중기청 전세대출, 청년 전세임대 등 2022년 청년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청년) 만 19세~39세 이하 무주택 세대주 대상의 전세자금이 필요한 청년을 위한 주택도시 기금 대출상품입니다. 연 1.5%~2.1% 금리 이자로 임차보증금의 80%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7천만 원 한도로 가능합니다. 금리는 소득에 따라서 정해지고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조건도 있습니다. 연소득 2천만원 이하 : 1.5 % 연소득 2천만원 초과 ~ 4천만 원 이하 : 1.8 % 연소득 4천만원 초과 ~ 6천만 원 이하 : 2.1 %.. 2022. 6. 5.